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앙선관위는 2년 전 특혜 채용 의혹이 불거졌을 때도 자체 감사를 잘하겠다고 했었는데요. <br> <br>감사원은 채용 비리 의혹을 878건이나 적발했는데 선관위 적발 건수는 없었습니다.<br><br>감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중앙선관위가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한 자체감사 결과 자료입니다. <br> <br>징계 요구 5건과 경고 11건 등 모두 176건이 적발됐습니다.<br> <br>가장 강한 조치인 징계 요구 사유를 보니 서류 누락 같은 회계 규정 위반이나 해외 체류를 목적으로 육아휴직을 악용한 사례 등입니다. <br> <br>채용 관련은 1건도 없습니다. <br> <br>감사원이 지난달 27일 공개한 선관위 감사 결과에서 채용비리 878건이 드러난 것과 대조적입니다. <br> <br>선관위에서는 정작 문제가 된 채용 부분은 손을 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<br><br>감사 기간이 겹치는 동안 감사원에서는 결격 사유를 조작해 자녀를 합격시킨 경남 선관위 직원, 면접 점수를 연필로 기재하게 한 뒤 점수를 수정해 직원 자녀를 합격시킨 서울 선관위 직원 등을 적발했습니다.<br> <br>선관위는 감사원이 감사중이어서 자체 조사에서는 제외했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[이만희 / 국민의힘 의원] <br>"감사원에서 하니까 자기들은 그걸 담지 않았다고 하지만 실제로 의지만 있다면 훨씬 더 정확하게 훨씬 더 깊이 있게, 훨씬 더 빠르게 결과를 국민에게 내놓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또 선관위가 감사원의 직무감찰 권한을 두고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까지 청구하며 다퉜던 터라 궁색한 변명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조승현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